오피니언/사람

앨버타 종합병원, 운영 결정권 확대 - 주정부, “빠른 문제 ..

관심글

관심글


“쥐똥에 곰팡이 냄새”… 캐나다 이주 농장노동자들 “인간이 살 수 없는 환경” 호소

CityNews 
(안영민 기자) 캐나다 농장에 종사하는 이주 노동자들이 열악하고 비인간적인 주거 환경에 방치돼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정부의 강도 높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9일 캐나다 전역의 학자와 시민단체 활동가 29명으로 구성된 연구진은 전국 단위의 일관되고 실효성 있는 이주 노동자 주거 기준을 도입할 것을 촉구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곰팡이 핀 냉장고, 쥐 배설물이 가득한 오븐과 조리대 등 사람이 거주할 수 없는 상태”라며 이주 노동자들의 증언을 생생히 담았다. 한 자메이카 출신 노동자는 “부엌이 너무 더러워 며칠 동안 음식을 만들지 못했다”며 “표백제로 닦고 또 닦았다”고 말했다.

이주 노동자들은 멕시코와 카리브해 국가 출신이 대부분이며, 캐나다 농업의 고질적인 인력 부족을 메우는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이들을 ‘임시 외국인 노동자 프로그램’을 통해 받아들이며, 고용주는 ‘적절하고 쾌적한 주거’를 제공할 법적 의무가 있다.

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보고서에 따르면 노동자 8명이 한 방에서 생활하거나, 난방·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아 혹서기와 혹한기에 노출되는 사례도 있었다. “농장주가 온도 조절기 리모컨과 열쇠를 사무실에 보관해 난방을 마음대로 조절하지 못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문제는 주거시설에 대한 정부 점검도 허술하다는 점이다. 한 멕시코 출신 노동자는 “감독관이 방문하기 전 농장주에게 미리 통보가 간다”며 “점검이 아니라 보여주기식 위장 점검”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공공 교통 접근성 개선 ▲고용주의 감시·통제 축소 ▲부엌·화장실·세탁실 인원비율 제한 ▲공정한 공공기관에 의한 점검 등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는 민간 고용주 단체 소속의 점검관이 감시 업무를 수행하는데, 이해충돌 소지가 크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를 공동 집필한 맥길대 질 핸리 교수는 “이주 노동자에 대한 기준이 낮으면 캐나다 전체의 주거 기준도 무너진다”며 “누구든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핸리 교수는 해결책으로 이주 노동자의 상시 거주 권리 부여(영주권), 연방정부 주도 정책 조율, 노동조합의 역할 강화 등을 제시했다. 그는 “숨겨진 이 위기가 눈에 보이는 캐나다의 주거 위기를 지탱하고 있다”며 “이 문제를 해결해야 캐나다 전체가 나아진다”고 강조했다.

기사 등록일: 2025-05-10


나도 한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