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엔 드림 운영팀, 이 설문조사 불편하시면 내리셔도 됩니다.
제가 옛날부터 씨엔드림은 자선단체가 아니라 수익을 내야 운영될 수 있는 비지니스이므로, 제 개인적으로 회원으로
서 자유게시판의 운영의 공정성에 기여하기 위해 약간의 적당한 연회원비를 낼 수 있다고, 자유게시판에서 공식적으
로 몇번 말씀드려왔습니다.
언론매체로서의 사명감과 투명성, 공정성등등등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재정의 안정성이 필요
합니다.
자~ 그냥 가볍게 여러분들의 의견을 여쭤보는 것이니, 투표해 주시기 바랍니다.
요즘 여러 문제로 다 힘드신데, 돈얘기 꺼내서 죄송하지만, 그냥 여쭤보는 것이니, 가볍게 답변해주시기 바랍니다.
씨엔 드림도 몇곳에 광고가 비어 있는걸 봐왔습니다.
미국이건 캐나다건 공익 방송에서 (public broadcasting) 공익을 위한 여러 건전한 방송과 프로그램 생산및 방송을
위해서 맨~~날 시도 때도 없이 회원권 판매와 ‘ fund raising ‘(기금 모금) 합니다.
1. 약간의 연회원비를 낼 수있다 - ‘추천’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2. 씨엔드림은 광고비와 클릭수로만(?) 수익을 내기 바라며, 연회원비 낼 수 없다. - ‘반대’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화이트팽님께서 전에 올리셨던 글을 보시면, 제가 화이트팽님의 의견과 제안에도 대부분 동의를 했었습니다.
항상 중립적인 관점에서 이슈에 접근, 분석, 해결책을 찾고 싶은 한 사람일뿐입니다.
제가 위에도 말씀드렸듯이 운영팀이 아닌 잘 알고 계시는 다른분들로부터 제가 언론 매체의 현실적인 실제 운영방법에 대해 배우고 싶습니다.
저는 제가 무언가를 원해서 요구할때, 그것에 대한 대가를 지불해야한다고 배워서요..
세상에 공짜가 없다고요..
그 의미는 다시 구체화해서 딱 집어 말씀드리면 어떻게 수익을 내서, 훌륭한 서비스: 기술적인면과 (인프라 구축,유지, 업그
레이드 등등), 만족스러운 고객 관리 서비스면과 훌륭한 전문적인 기사와 여러 운영비 충당: 인건비, 유지비, 경상비등등등
비용을 말합니다.
언론매체라는 비지니스로서 어떻게 수익을 내서 이런 비용을 충당하는 가 입니다.
제가 광고와 클릭수를 통한 수입은 알고 있습니다.
이를 너무 확대, 왜곡해서 해석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우선 저는 20대 후반, 반대입니다
이유는 간단하게 살면서 지금까지 연회비를 내고 사용하는 웹사이트가 없습니다. 다른 분들은 모르겠지만 저는 되게 생소하게 느껴지면서도, 오프라인 테이프, dvd 대여 업체에서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바뀐 넷플릭스처럼 이게 될까? 싶은 생각이 들면서 흥미로운 내용이였네요.
개인적인 생각으론 유튜브 프리미엄처럼 연회비를 낸 이용자는 광고 없이 이용하는것 정도는 현실성 있는 수익창출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cn드림이 연회비 회원제로 바뀐다고 가정할때 걱정되는 부분은, 벤쿠버 한인사이트 우벤유처럼 네이버, 다음카페를 기반으로 제2의 캘거리 한인사이트가 생기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