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드림 캐나다 앨버타주 1등 신문

라이프

자유게시판

[간만에 올려보는 감상글 하나] 봄, 본제입납

작성자 안희선 게시물번호 9038 작성일 2016-04-14 22:27 조회수 3072





, 본제입납 

                     -어느 실직자의 편지


봄은 땅을 지펴 온 산에 꽃을 한 솥밥 해 놓았는데 빈 숟가락 들고 허공만 자꾸 퍼대고 있는 계절입니다
라고 쓰고 나니
아직 쓰지 않은 행간이 젖는다

벚꽃 잎처럼 쌓이는 이력서

골목을 열 번이나 돌고 올라오는 옥탑방에도
드문드문 봄이 기웃거리는지,
오래 꽃 핀 적 없는 화분 사이
그 가혹한 틈으로 핀 민들레가 하릴없이 빈둥거리는 봄볕과 일가를 이루고 있다

꽃들이 지고 명함 한 장 손에 쥐는 다음 계절에는 빈 손 말고
작약 한 꾸러미 안고 찾아 뵙겠습니다 라는 말은
빈 약속 같아 차마 쓰지 못하고

선자의 눈빛만으로도 당락의 갈피를 읽는 눈치만 무럭무럭 자라 빈한의 담을 넘어간다 라고도 차마 쓰지 못하고

한꺼번에 쏟아져 내리다 그치는 봄날의 사랑 말고 생선 살점 발라 밥숟갈 위에 얹어 주던
오래 지긋한 사랑이 그립다 쓰고
방점을 무수히 찍는다. 연두가 짙고서야 봄이 왔다 갔음을 아는
햇빛만 부유한 이 계절에,




* 본제입납(本第入納) :
자기 집에 편지할 때에 겉봉 표면에 자기 이름을 쓰고 그 밑에 쓰는 말


                                                                                                             - 허영숙



 


경북 포항 출생
釜山女大 졸
2006년 <시안> 詩부문으로 등단
시마을 작품선집 <섬 속의 산>, <가을이 있는 풍경>
<꽃 피어야 하는 이유>
동인시집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시집, <바코드 2010> 等
2016 부산문화재단 시부문 창작지원금 대상자에 선정


---------------------------

<감상 & 생각>

본제입납(本第入納), 아니 본가입납(本家入納)이라 할까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같은 내면화의 풍경이
군더더기 없이 정갈하게 묘사된 느낌입니다

이 시를 읽으니 (꼭이 부제 副題가 그래서 그런 건 아니지만... 아무튼,)
IMF때 실직을 하고 몇년인가 뜬 구름처럼 헤매이던 그 어느 해
뼈속까지 차가웠던 봄날도 생각납니다

그때는 화사한 봄빛마저 시퍼런 작두를 들고 달려드는 느낌이었죠

생경(生硬)한 봄풍경의 아픔을 단순히 개인적인 것으로 삼는 것을 넘어,
먹고 사는 생존을 위해 모든 게 더욱 더 황량해지기만 하는 이 시대의 아픔이
곧 우리 모두의 아픔임을 의미하고 있는 연대감 , 그 소중함 같은 것

- 오늘도 실직자들은 사방을 떠돌고.. 매일 우수수(憂愁愁) 자살하는 사람들

뭐, 그래도 계절은 그런 인간사(人間事)와 하등 관계없이
저 홀로 너무 눈부시어 마주 볼 수 없고..

하지만, <봄>이라는 또 하나의 주제를 갖고 어둠과 빛이 서로 몸을 섞듯한
상상의 나래를 펴는 백일몽(白日夢)의 세계에
화자(話者)의 현실 내지 어둠을 때로는 꿈꾸듯이, 때로는 처연(悽然)하게
서정적 언어로 형상화하고 있음이
그 언젠가는 빛을 볼, 방점(傍點)찍힌 개화(開花)의 꿈을
말해주는 것 같습니다


                                                                                                 - 희선,


                                   

>>


0
0
민들레 영토  |  2016-04-15 00:58    
0 0
집 떠나온 자식이 안정된 처지가 못된

안타까운 현실의 심경을

한 줄 쓰는 행간 마다

눈물로 젖는 안부편지,

가슴이 울컥해 집니다.




찾아온 봄빛의 따스함과

만개한 봄꽃의 사랑스러움이

밥숟갈 위에 얹어주던 가시 발린

생선 하점의 사랑 표현으로 그리움을 담아

본가에 전하는 마음, 참으로 압권입니다.

시선에 걸맞게 감상을 잘 전달 해주시는

감상평에 매번 감사를 전합니다.
안희선  |  2016-04-15 01:27    
0 0
이곳에 글을 올렸다가, 먹고 살기 바쁜 세상살이에 별 영양가도 없는
시 나부랑이 글따위 좀 올리지 말라는 운영자 및 여러 분의 질타도 있고 해서
더 이상 글을 올리지 않으려 했습니다만..

뭐, 하긴 모든 가치는 낡은 짚신을 버리는 기분으로 세상을 지나갈 일이기도 합니다

또한 요즘의 형이하적 詩流 , 時流에서 시다운 시를 쓰는 시인도 참 드물죠 (저를 포함해서)

그래서, 시는 일반대중으로 부터 철저히 외면당하는 천덕꾸러기가 되었나 봅니다

하지만, 가끔은 가뭄에 콩나듯 좋은 시도 대할 수 있는 것이어서
이렇게 부족한 감상글도 올리게 되나 봅니다

시인의 시를 읽으며, 새삼 또 다시 느끼게 되는 건
시를 쓰고 읽는 일은 결국 체험 나누기이며 감동 나누기란
생각을 해 봅니다


귀한 말씀으로 머물러 주셔서 고맙습니다

캘거리 문인협회의 시인님들도 모두 강녕하신지 궁금합니다

모두, 건안.건필하심을 먼 곳에서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시인님,